개발하던 언리얼 프로젝트를 Github 사용 시 1년에 8만원씩 써야 해서 git만 사용하다가 너무 불편하여 대안을 찾던 중 "차라리 AWS에 사설 Github 서버 올리면 그게 더 싸지 않을까?" 싶어서 찾아보다가 CodeCommit이라고 아얘 서비스가 나와서 환경을 설정해보았습니다.
일단 졸업하고 AWS를 처음 쓰는거라 환경 설정 하는데 시간이 꽤 걸린 것 같습니다.
윈도우 환경인 점이 한 몫 하기도 했구요.
그리고 AWS 사설 주소로 Push를 보내는게 지금 사용하는 GUI(Git Kraken)에서는 지원되지 않더라구요.
그래서 강제로 CUI 환경으로 복귀하게 되었습니다.
그래도 아직 자주 쓰지는 않았지만 장점도 몇 있었습니다.
일단 가격이 매우 쌌습니다. 여러 애셋을 같이 올려보았는데 한 8GB 올렸음에도 가격 정책에서 별로 잡히지가 않습니다.
그리고 개인 프로젝트라 커밋 수가 적은 것을 감안하면 가격 부담은 한달에 5달러는 커녕 1달러도 안넘을 것 같습니다.
한가지 아쉬운 점은 개인적으로 게임 프로젝트에서 리소스와 코드가 혼재되어 있어서 VCS 선정할 때 Git이 후순위로 밀리는 것에 대해 대안을 찾고자 Git과 Perforce를 혼용하는 방안을 고민 했는데 안타깝게도 이 방안을 구현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.
다만 프로젝트가 어느정도 마무리가 되면 Perforce에 더 공부해서 카피 프로젝트를 EC2에 옮겨보고, 성공한다면 Github까지 복사를 한 뒤 다시 Github로 복귀해보고자 합니다.
여튼 개인 게임 프로젝트를 하면서 VCS에 고민이 있으신 분들은 하루 정도 투자하셔서 CodeCommit을 사용해보는 것을 추천드려 봅니다.
'메모장 > 개발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nreal Engine 코드를 포함한 Project 생성하기 (with VCS) (0) | 2022.07.08 |
---|---|
툴팁(Tooltip) 만들기 (0) | 2022.05.05 |
C++ Lambda Capture 주의사항 (0) | 2021.11.13 |
Print client side log in listen server (0) | 2020.06.25 |
FObjectInitializer constructor fatal error c1853 (0) | 2020.04.20 |